구본창 (1953)
具本昌

연세대 경영학과 졸업 후 독일 함부르크 조형미술대학에서 사진 디자인을 전공, 디플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85년 귀국 후 작가 및 전시 기획자로 활동을 하며 한국현대사진의 기초를 다지는 역할을 하였다는 평을 듣는다. 간결하면서도 미니멀한 그의 작업은 한국현대사진에 그 만의 독특한 자리매김을 하게 하였고, 2025년 삼성호암상을 수상했다.

2001년 삼성 로댕갤러리, 2002년 미국 피바디 에섹스 뮤지엄, 2006년 국제 갤러리, 2010년 필라델피아 미술관, 2021년 중국 Three Shadows Photography Art Centre, 2023년 서울시립미술관, 2024년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 국내 외에서 여러 번의 개인전을 열었다.

그의 작품은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휴스턴 뮤지엄 오브 파인 아트, 교토 카히츠칸 미술관,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삼성 리움 등 국내외 다수의 갤러리에 소장되어 있으며, 작품집으로는 한길아트 ‘숨’, ‘탈’, ‘백자’, 일본 Rutles ‘白磁’, ‘Everyday Treasures’, '공명의 시간' 등이 있다. 

Koo Bohnchang studied Business Administration at Yonsei University and later earned a Diploma in Photography and Design from HFBK Hamburg in Germany.

Since returning to Korea in 1985, he has been instrumental in shaping 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with his minimal and contemplative works. In 2025, he was awarded the Samsung Ho-Am Prize.

He has held numerous solo exhibitions, including at the Peabody Essex Museum in Massachusetts (2002), Kukje Gallery in Seoul (2006), the Philadelphia Museum of Art in Philadelphia (2010), Three Shadows Photography Art Centre in Beijing (2021), the Seoul Museum of Art (2023), and the Asia Culture Center in Gwangju (2024).

His works are part of the collections of the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the Museum of Fine Arts in Houston, the Kahitsukan Kyoto Museum of Contemporary Art,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Korea, and the Leeum, Samsung Museum of Art in Seoul. His publications include Deep Breath in Silence, Revealed Personas, Vessels for the Heart, How to Capture the Touching Moment in Korea, and Hysteric Nine, Vessel, Everyday Treasures in Japan.